[CLS 27] 거자오광(葛兆光) 복단대 문사연구원 및 역사학과 석좌교수
현장에 있는 것과 없는 것——조선통신사 문헌으로 본 근세 동아시아 삼국 (在场的和不在场的——从朝鲜通信使文献中看近世东亚三国)

2017.02.27 15:00 ~ 17:00

거자오광 교수는 왜 최근 들어 중국학자들이 한국, 일본 등에 남아 있는 한자 문헌에 관심이 많은지, 14세기 중엽 이후 조선과 일본간의 문화적 경쟁에 있어서 중국은 어떤 관계가 있었는지, 마지막으로 조선통신사 문헌 연구에 있어서 중국 학자들이 어떤 공헌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에 답을 하며 강연을 진행하였다.

먼저, 최근 들어 중국학자들이 조선통신사 문헌에 주목을 하고 있는 이유로는 2000년대 이후 문헌교류가 활발해져 해외에 소재한 한문서적을 연구하는 문헌학자, 명청 시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 국제관계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참신한 사례 제공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2010년 이후 중국 학자들은 제국과 민족국가, 지역 문화와 정체성 문제에 주목을 했고 중국과 문화가 비슷한 주변국의 눈으로 중국을 재조명하기 시작했다고 부연하였다.

두 번째로 14세기 전에는 고대의 중국 문화가 동북아 각국의 문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14세기 중엽 이후 조선과 일본은 각자 자신만의 문화를 발전시켰고, 부단히 문화적 경쟁과 비교를 했다고 설명하였다. 조선과 일본의 문화적 경쟁에 있어서 중국은 여전히 심대한 영향을 미쳤고, 중국의 예절, 풍습, 학문, 회화, 서예 등과 유사한가 아닌가가 우월함의 판단기준이 되었다고 부연하였다. 비록 당시 중국은 현장에 있지 않았지만 한국과 일본과의 문화 경쟁에 시시각각 존재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조선통신사 문헌을 연구할 때 한국과 일본은 각국의 독자적인 입장과 학술배경을 가지고 연구를 한다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만약 중국 학자가 연구에 참여하면 보다 객관적인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고, 중국의 관점을 제공하는 등 국가를 초월한 동북아 지역사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하였다. 조선통신사 문헌연구는 동북아 3국의 상호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연구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며, 문화적 경쟁을 넘어 학술적 협력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GE Zhaoguang, 윤병남, 지두환, 한승현

연사 및 발표 주제

  • 강연자: GE Zhaoguang, 복단대 문사연구원 및 역사학과

    현장에 있는 것과 없는 것——조선통신사 문헌으로 본 근세 동아시아 삼국 (在场的和不在场的——从朝鲜通信使文献中看近世东亚三国)

    동영상보기

  • 대담자: 윤병남, 서강대 사학과

     

    동영상보기

  • 대담자: 지두환, 국민대 국사학과

     

    동영상보기

  • 대담자: 한승현, 건국대 사학과

     

    동영상보기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