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07 482

뉴스1 美캠벨 "北 7차 핵실험 시기 '모르쇠'…한·일 핵우산 단호히 유지"


커트 캠벨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인도태평양조정관. 사진은 버락 오바마 전 미 행정부 당시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 시절. 그는 오바마 전 정부의 아시아 전략 수립에 있어 핵심 인물이었다. 2012.12.13 ⓒ AFP=뉴스1 ⓒ News1 정윤미 기자


커트 캠벨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이 6일(현지시간) 북한의 7차 핵실험 시기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캠벨 조정관은 이날 최종현학술원이 미 버지니아주 미들버그에서 개최한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그 포럼에서 취재진과 만나 '북한의 7차 핵실험이 언제쯤 이뤄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우선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그는 "동북아시아와 세계 전반에 걸친 국제 관계와 민감한 시기에 7차 핵실험은 세계를 불안정하게 하고 매우 도움 되지 않을 것"이라며 "이에 대해 북한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를 비롯한 다른 국가들에 강력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한국·미국 사이에 가능한 한 가장 강력한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어떻게 대응할지 조율"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 시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대비를 하고 있다 생각하는데, 솔직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 그의 팀 의사결정에 대해서는 아는 게 많지 않다"고 밝혔다.

'최근 잇단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따른 미국의 대북 정책 변경 필요성'에 대해 "우리는 항상 가정들을 검토한다. 우리가 걸어온 과정이 효과적이고 신중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문제는 세계 무대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 중 하나라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며 "일본, 한국과 매우 긴밀한 협의를 하고 있고 우리 최선의 접근법은 우리가 실제로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보조를 맞추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전술핵 시스템 한국 재배치' 관련해선 답변을 회피했다. 다만 "우리의 확장억지가 여전히 강력하다는 점을 동맹국과 파트너들 그리고 이를 시험하려 드는 다른 사람들에게 확인시키는게 미국에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가 된다"고 했다.

다만 "우리가 직면한 여러 과제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한국을 핵우산 아래에 두는 것을 유지하기로 한 데 대해 단호하다"며 "우리의 확장억지 조치를 실질적이고 확실하게 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깊은 협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을 비롯해 외국산 전기차 차별 논란이 되고 있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조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단지 우리가 경제적 측면의 모든 문제에 대해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긴밀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할 뿐"이라고 일축했다.

 

younme@news1.kr 정윤미 기자


원문보기

 

LIST